
국토부에서 운영하는 K패스가 5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.K패스는 최대 53%의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인데요,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기후동행카드와 비교해 보았습니다. 꼼꼼히 비교해 보고 나에게 맞는 교통카드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.지역적인 여건이 맞는다면 두 가지 교통카드 모두 사용도 가능하니 잘 알아보셔서 대중교통 이용요금을 아끼시면 좋겠습니다. 1. K패스⋅기후동행카드 1분 만에 알아보기 ◼ K패스 국토부에서 운영하는 K패스는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예요. 주요 혜택은?전국 대중교통 이용 시, 교통비 환급 최대 53%!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, 전국 어디에서든 교통비의 20%를 돌려받을 수 있어요. 환급비율은 청년의 경우 30%, 저소득층의 경우 53%까지 ..

서울시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월 60회 기준으로 연간 34만 원 정도를 절약할 수 있는 정책이 곧 시행됩니다. 지난해 서울시가 발표한 ‘기후동행카드‘인데요, 서울시의 버스를 이용할 경우 월 60회 이용을 기준으로 연간 34만 원을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. 요즘 같은 고물가, 고금리 시대의 서울시민에게는 작지만 단비 같은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. 오늘은 이 ’기후동행카드‘의 출시 배경과 사업의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. 기후동행카드란?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의 친환경 교통혁신 정책의 일환으로 출시되었습니다.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인데, 이 카드를 사용하면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 동안 지하철, 버스, 그리고 공공자전거인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..